육我_심리학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기법과 절차)

맘맘심 2023. 5. 4. 11:00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기법과 절차)

 

2023.04.29 - [육我_심리학] - 심리치료이론 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심리치료이론 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심리치료이론 1_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대학원 첫 학기 과목 중 하나인 '상담 및 심리치료'를 통해 심리치료 이론을 하나씩 정리해보고 있다. 입학 전 독학을 할 때 들었던 전공필

mommomsim-lee.tistory.com

2023.05.01 - [육我_심리학] -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심리치료 과정)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심리치료 과정)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심리치료 과정) 2023.04.29 - [육我_심리학] - 심리치료이론 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심리치료이론 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mommomsim-lee.tistory.com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고전적 정신분석과 현대적 정신분석 치료는 상이한 점이 몇 가지 있다.

현대적 정신분석 치료는 성격의 재구성보다 제한된 목표들을 더 많이 추구하고 꿈보다는 실제적 문제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카우치를 덜 사용하고 치료횟수도 짧으며, 특히, 상담자가 자기개방을 통해 내담자에 대한 지지적 중재를 많이 사용한다.

 

어쨌든 이번 글에서 다룰 정신분석 치료의 기법들은 고전과 현대에서 모두 같은 목표를 가지고 활용된다.

내담자의 의식을 증가시키고 무의식적 자료를 훈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행동에 대한 지적 통찰과 증상의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여 성격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분석적 틀의 유지

목표 달성을 위한 치료의 구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담자의 상대적 익명성과 만남의 규칙성 등 절차적이고 형식적인 요인들로 구성되며 일정한 틀 자체로서 치료적 의미를 갖는다.

정신분석 치료의 매우 강력한 측면 중 하나이다.

 

#자유연상

정신분석 치료의 핵심기법으로, 카우치에 누운 내담자가 아무런 검열 없이 무엇이든지 떠오르는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방법이다.

내담자는 가끔 규칙을 이탈할 수 있으나 이런 저항에 대해 상담자가 시의적절하게 해석해야 한다.

 

#해석

상담자는 내담자의 무의식에 갇힌 억압된 자료를 규명하여 내담자들에게 해석해줌으로써 통찰을 도와야 하는데 이 때 감춰진 의미와 말하지 않은 부분까지 헤아려야 한다.

적절한 해석이란 내담자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을 때, 표면적인 것부터 내담자가 갈 수 있는 깊이까지만 해석해주는 것이며, 저변의 정서나 갈등을 해석하기 전에 저항이나 방어을 지적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꿈의 분석

무의식적 갈등을 찾아내기 위해 꿈의 주제나 내용을 분석하는 것으로, 어떤 동기들은 인간이 받아들이기 힘들어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못하고 꿈을 통해 상징적 형태로 표현된다고 보았다.

상담자는 꿈에서의 상징을 탐색하여 위장된 의미를 밝혀냄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의 투쟁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갖게 해준다.

 

#저항(resistance)의 분석과 해석

프로이트는 저항을 '억압한 충동이나 감정이 인식되려고 할 때 야기되는 견디기 어려운 불안과 고통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의식적 역동과 같은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저항은 치료를 방해하기 때문에 상담자는 내담자가 저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적을 해야 하는데, 이 때 해석에 대한 거부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분명한 저항만을 지적하고 해석한다.

다만, 모든 저항이 극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의 허용은 필요하며 적절히 다루어지면 내담자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전이의 분석과 해석 

정신분석의 중심 기법으로 치료의 핵심과정으로 여겨지며, 이 과정을 통해 현재에 미치는 과거의 영향에 대한 통찰이 성격 변화를 가져온다고 본다.

내담자는 전이를 통해 그 동안 접근할 수 없었던 다양한 감정을 재경험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석과 초기 감정의 훈습 등을 통해 내담자의 행동양식의 인식과 변화가 가능하다.

 

 

* 출처 : Gerald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