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我_심리학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심리치료 과정)

맘맘심 2023. 5. 1. 06:08

심리치료이론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심리치료 과정)

2023.04.29 - [육我_심리학] - 심리치료이론 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심리치료이론 1_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심리치료이론 1_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주요 개념) 대학원 첫 학기 과목 중 하나인 '상담 및 심리치료'를 통해 심리치료 이론을 하나씩 정리해보고 있다. 입학 전 독학을 할 때 들었던 전공필

mommomsim-lee.tistory.com

 

정신분석치료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자아를 강화해서 본능보다는 현실에 바탕을 둔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

아동기의 경험의 재구성 및 분석을 통해 무의식의 문제를 표출시킴으로써 자기 이해의 수준을 높여야 성격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상담자(치료자)의 역할과 내담자의 경험은 고전적 정신분석과 현대적 정신분석에서 조금 상이하다.

 

#고전적 정신분석

고전적 분석가들의 경우, 자기노출 없이('빈 스크린 접근')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자에게 투사를 할 수 있는 전이관계를 촉진했고, 이를 통해 과거에 미해결 또는 억압된 사건을 이끌어내어 분석하는 것을 치료의 핵심으로 보았다.

치료의 기간이 최소 1~2년에서 5년까지이기 때문에 내담자는 이러한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치료를 받을 의지가 있어야 한다.

자유연상
- 카우치에 누워 떠오르는 모든 것을 다 이야기하는 방법
- 이를 통해 내담자는 검열받지 않은 깊은 생각을 할 수 있고, 상담자는 자신의 표정을 내담자가 볼 수 없게 함으로써 퇴행적 전이의 투사를 조장함

 

#현대적 정신분석(정신역동적 치료)

정신역동적 치료를 지향하는 상담자는 치료기간을 단기간으로 하고 전통적 정신분석의 기법을 모두 사용하지는 않음으로써 단순화한다. 다만, 전이와 꿈, 무의식에 대해서는 다룬다.

내담자의 경우 이 치료과정에 열심히 참여할 것을 약속하고, 치료 절차가 분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퇴사나 이혼 등)를 피하도록 한다.

 

반응형

두 치료 모두 내담자가 자신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명료화하고 역사적 원인을 이해함으로써 핵심 주제를 해결하여 현재 대인관계와 과거의 문제를 통합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치료의 종결 준비가 다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성공적인 정신분석은 내담자가 자신의 생활이 '왜 그랬는지'에 대한 해답을 얻게 되는 것으로서, 자신의 증상과 그 기능을 이해하고 자신과 환경의 상호 영향성에 대해 통찰력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방어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전이

내담자가 과거 자신에게 중요했던 타인으로부터 느꼈던 감정을 무의식적으로 상담자에게 이동시키는 것으로, 결국 과거 경험의 패턴이 대인관계를 통해 현재 생활에 일어나는 것(긍정적/부정적 전이 모두 가능)

≫ 내담자가 이 감정을 의식하게 되면 과거의 관계에서 미해결된 것을 이해하고 해결이 가능

 

#훈습(working through)

연기가 몸에 배이듯 학습된다는 의미로, 무의식의 자료에 대한 반복적 해석과 저항형태(방어기제)의 탐색을 통해 가능하며 그 결과 기존의 행동양식을 버리고 새로운 선택이 가능

≫ 치료적 관계에서 적절한 훈습이 있어야 내담자가 모든 사람들에게 유아기적 소망을 전이시키는 것을 중단 가능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 고전적 의미 : 상담자가 자신의 무의식적 갈등을 내담자의 것으로 투사함으로써 유발되는 것으로, 내담자를 대할 때 객관성을 저해할 수 있는 부적절한 정서 및 비합리적 반응

- 넓은 의미 : 상담자가 갖는 내담자에 대한 모든 정서적 반응. 상담자가 객관성을 유지하고 자신의 내적 반응을 내담자 이해 및 내담자가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원천으로 사용한다면 오히려 치료에 도움이 되는 수단

 

정신분석치료에서 내담자들이 자신의 무의식적 적신역동을 통찰하기 위한 전이상황을 훈습하는 데 있어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역동적 자기이해는 현재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가정한다.

다만, 고전적 정신분석의 경우 상담자는 관계의 밖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통찰력을 기를 수 있는 분석을 제공했다면, 현대적 정신분석에서는 직접 참가자가 되어 '지금-여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치료적 환경을 마련하고 이 치료적 관계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 출처 : Gerald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